<aside> 핵심 요약

효과성효율성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고 자원을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 평가하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들은 조직의 성과를 측정하고 개선하는 데 활용됩니다.

1. 효과성 (Effectiveness)

정의 : 효과성은 조직이 목표를 얼마나 잘 달성했는가에 초점을 둡니다. 이는 결과 중심적인 개념으로, 올바른 일을 수행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는지에 대한 평가를 의미합니다.

주요 질문:

• 조직의 목표가 달성되었는가?

• 고객이나 이해관계자가 기대하는 결과를 충족했는가?

• 의도한 전략적 결과를 도출했는가?

예시:

• 특정 제품 판매 목표를 10만 개로 설정했을 때, 실제로 10만 개를 판매했다면 효과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 고객 만족도를 90% 이상 유지하는 것이 목표라면, 그 목표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측정합니다.

2. 효율성 (Efficiency)

**정의:**효율성은 조직이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했는가에 초점을 둡니다. 이는 투입 대비 산출을 극대화하거나 낭비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주요 질문: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의 성과를 냈는가?

•시간, 비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했는가?

•업무 과정에서 불필요한 낭비가 없었는가?

예시:

•10만 개의 제품을 생산하는 데 기존에는 100시간이 걸렸다면, 이를 80시간으로 단축한다면 효율성이 개선된 것입니다.

•동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면서 원재료 비용을 절감한다면 효율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효과성과 효율성의 차이점

구분 효과성 효율성
정의 목표 달성 정도 자원 활용 정도
초점 목표 달성 여부 자원의 최적 활용
평가 기준 "올바른 일을 했는가?" "일을 올바르게 했는가?"
성과 유형 결과 중심 과정 중심
측정 지표 목표 달성률, 성과 지표 투입 대비 산출률, 비용 절감률
예시 목표 매출액 달성 최소 비용으로 목표 달성

→ 통합적 관점

조직의 성공을 위해서는 효과성과 효율성이 모두 중요합니다.

효과성이 높더라도 효율성이 낮으면 자원 낭비가 발생합니다.

효율성이 높더라도 효과성이 낮으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