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주요 요점:
경영자는 차이분석을 이용하여 지속적 개선의 효과적인 순환을 만들 수 있다 . 이는 원가차이의 원인을 반복적으로 식별하고 , 이를 수정하며 , 결과를 평가하는 것으로 실현 가능하다 . 개선의 기회는 주로 제품생산 초기에 발견할 가능성이 높다 .
관리자가 비교적 쉬운 개선점을 식별한다면 , 후속 개선점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하고 세밀할 필요가 있다 . 일부 기업은 카이젠 (Kaizen) 예산을 이용하여 , 일련의 기간 동안 지속적인 예산원가절감을 구체적인 목표로 설정한다 . 카이젠 예산의 장점은 지속적 개선의 목표를 명확히 설정한다는 것이다.
지속적 개선 목표는 신중하게 수행되는 것이 중요하다 . 그러나 연구 및 설계단계에서 지속적 개선을 강조하며 지나친 훈련을 요구한다면 ,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제안을 기대하기 어렵다 . 효율성을 개선하려는 명확한 목표가 직원의 도전정신과 기업의 혁신을 제한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