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핵심 요약:

차이분석의 목적은 경영진이 원가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파악하여 학습하고 , 이를 통하여 기업의 미래성과를 개선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 불리한 직접재료원가 능률차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 의류업종 경영자는 재킷의 디자인을 개선하거나 보다 나은 품질의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처를 선정 , 혹은 불량률을 줄이겠다는 작업자의 의식을 고취할 수 있다.

때로는 불리한 직접재료원가 능률차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선택해야 하는 양질의 원재료 가격이 상당히 높다면 , 제품과 관런된 기업의 전략을 수정할 필요도 있다 . 차이분석은 모든 책임과 비난을 뒤집어 쓸 사람을 찾는 ' 책임 떠넘기기'에 이용되어서는 안 되며 , 경영진이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기업의 미래성과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기업은 경영자와 종업원의 성과를 평가하며 조직 내 학습을 개선하기 위해 , 차이분석 이용에 균형을 유지하여야 한다. 만약 성과평가 관점이 지나치게 강조되면 , 경영자는 도전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목표를 설정하여 달성하기보다는 , 단지 달성하기 쉬운 목표를 설정하려 노력할 것이다 .

예를 들어 의류업종 생산관리자는 작업자가 재킷을 완성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는 , 달성이 쉬운 표준시간을 선호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생산부서가 공정을 개선하고 제조시간과 원가를 절감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유인도 제공하지 않는다.

또는 생산관리자가 작업자에게 허용된 (표준) 시간 내에 재킷을 완성하도록 강요할 수 있다 . 이 경우 낮은 품질의 재킷이 생산될 가능성이 높으며 , 결국 매출이 감소할 것이다 .

그러나 차이분석이 조직 내 학습을 촉진하는 수단으로 인식된다면 , 부정적인 효과는 최소화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