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sh vs Pull 방식 비교
| 방식 | 고정비 배부 방식 | 생산량 변화 시 고정비 영향 | 판매 가격 영향 |
|---|---|---|---|
| Push 방식 | 기간별 발생한 고정비를 생산량에 따라 배부 | 생산량 증가 시 단위당 고정비 감소 | 판매량 증가 시 가격 낮출 수 있음 |
| Pull 방식 | 사전에 설정된 예산 고정비 단가(UFC)로 배부 | 생산량이 변해도 단위당 고정비 일정 | 판매량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한 가격 유지 |
✅ Pull 방식은 생산량 변화에 따른 고정비 변동이 없으므로, 가격 변동성이 적어 안정적인 가격 정책을 유지할 수 있음.
📌 목표 이익률을 반영한 판매가격 계산식
판매 가격을 계산할 때 고정비(Fixed Cost), 변동비(Variable Cost), 판매량(Sales Volume), 목표 이익률(Target Profit Margin, PM)을 반영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총비용(TC, Total Cost) 계산
고정비(FC)와 변동비(VC)로 구성됨
TC = FC + (VC X Q)
총매출(TR, Total Revenue) 공식
매출은 판매 가격(P) × 판매량(Q)로 정의됨.
TR = P X 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