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원가 계산 방법론을 중심으로 재고원가의 다양한 계산 방식을 설명합니다. 선입선출법(FIFO), 후입선출법(LIFO), 평균법(Average Method)의 개념과 특징을 소개합니다.

</aside>

선입선출법(FIFO: First-In, First-Out)

먼저 구입한 재고가 먼저 판매 또는 사용된다고 가정하여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재고자산의 실제 물리적 흐름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기말재고는 최근에 구입한 원가를 반영합니다.

후입선출법(LIFO: Last-In, First-Out)

가장 최근에 구입한 재고가 먼저 판매 또는 사용된다고 가정하여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물가상승 시기에 당기 비용을 높게 계산하여 과세소득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나, 국제회계기준(IFRS)에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평균법(Average Method)

모든 재고 자산의 총 원가를 총 수량으로 나누어 평균 단가를 산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가격 변동의 영향을 평균화하여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평균법(Average Method)은 재고자산의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많은 기업에서 선호합니다:

평균법을 사용하는 이유

원가 흐름도 (T계정)

아래 이미지는 평균법을 사용한 재고원가 계산의 예시를 T계정 형식으로 보여줍니다. 기초재고와 매입 정보를 바탕으로 평균 단가를 산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매출원가와 기말재고를 계산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각 거래마다 수량, 단가, 금액이 표시되어 평균법 적용 시 원가 흐름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

T계정 원가흐름도.xlsx

image.png